국가경제지표: 사회통계- 추계인구, 자동차등록대수, 주택보급률, 지니계수, 교육비지출률, 보건의료비지출률
국가 경제지표: 사회통계- 추계인구, 자동차등록대수, 주택보급률, 지니계수, 교육비지출률, 보건의료비지출률 (1)사회통계관련 경제지표 1)추계인구 2)자동차등록대수 3)주택보급률 4)지니계수 5)교육비지출률 6)보건의료비지출률 (2)추계인구 (1)발표기관: 통계청(매년) (2)추계인구 우리나라에서 총인구에 관한 통계는 주민등록인구, 총조사 인구, 추계인구 이렇게 세가지가 있다. 이 중에서 추계인구가 우리나라 공식통계에 해당한다. 1)주민등록인구: 행정안전부의 주민등록신고에 기반하여 작성한 통계 2)총조사 인구 : 5년마다 실시하는 통계청의 인구주택총조사를 통해 조사원이 직접 가구를 방문하여 작성한 것을 집계한 통계이다. 3)추계인구: 주민등록인구와 총조사 인구가 가지는 한계를 극복하기 위해 통계청이 총조..
국가경제지표- 국민소득 ,GDP 명목, 계절조정, GDP 디플레이터 , 1인당 GNI, 수출입의 대 GNI 비율, 경제성장률, 총저축률, 국내총투자율
국가경제지표- 국민소득 ,GDP 명목, 계절조정, GDP 디플레이터 , 1인당 GNI, 수출입의 대 GNI 비율, 경제성장률, 총저축률, 국내총투자율 1. 국민소득관련 경제지표 – 조사기관: 한국은행 1) GDP 명목, 계절조정 2) GDP 디플레이터 3) 1인당 GNI 4) 수출입의 대 GNI 비율 5) 경제성장률 6) 총저축률 7) 국내총투자율 GDP와 GNI의 차이 2.국민소득관련 경제 기초지식 1)국민소득 국민소득은 생산지표인 국내총생산(GDP: Gross Domestic Product)와 소득지표인 국민총소득(GNI Gross National Income)으로 볼 수 있다. 즉, 국민경제의 소득규모는 ‘영토’개념을 기준으로 하여 측정한 국내총생산과 ‘거주성’개념을 기준으로 측정한 국민총소득의 두..
국가경제지표:국제수지 -경상수지, 자본/금융계정, 대외채무, 수출, 수입, 해외직접투자, 외국인직접투자, 수출단가지수, 수입단가지수, 순상품교역조건지수
국가경제지표:국제수지 -경상수지, 자본/금융계정, 대외채무, 수출, 수입, 해외직접투자, 외국인직접투자, 수출단가지수, 수입단가지수, 순상품교역조건지수 1.국제수지관련 경제지표 – 모두 한국은행에서 작성, 달라 기준 1)경상수지 2)자본/금융계정 3)대외채무 4)수출 5)수입 6)해외직접투자 7)외국인직접투자 8)수출단가지수 9)수입단가지수 10)순상품교역조건지수 2.국제수지관련 경제기초지식 1)국제수지란? 일정 기간 중 국간에 발생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표 2)국제수지의 작성원칙 -거래의 계상시점은 발생주의를 따른다. 즉 경제적 가치가 생성, 변화, 교화, 제공, 이전 또는 소멸된 시점을 거래의 발생시점으로 본다. -모든 거래는 거래당사자간에 합의된 실제가격으로 평가되는데 수출입상품의..
국가경제지표: 물가- 소비자물가지수,생산자물가지수, 수출물가지수, 수입물가지수, 근원인플레이션지수, 생활물가지수, 주택매매가격지수, 주택전세가격지수, 지가변동률, 국제유가(Dubai)
국가경제지표: 물가- 소비자물가지수,생산자물가지수, 수출물가지수, 수입물가지수, 근원인플레이션지수, 생활물가지수, 주택매매가격지수, 주택전세가격지수, 지가변동률, 국제유가(Dubai) 물가관련 경제 지표 1) 소비자물가지수 2) 생산자물가지수 3) 수출물가지수 4)수입물가지수 5)근원인플레이션지수 6)생활물가지수 7)주택매매가격지수 8)주택전세가격지수 9)지가변동률 10) 국제유가(Dubai) 1.물가관련 경제기초지식 1)물가 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 상품의 가격을 경제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수준을 말한다. 2)물가지수 물가의 움직임을 한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기준시점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해서 지수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3)인플레이션 Inflation 물가의..
국가경제지표: 고용(임금)관련 경제지표: 경제활동인구, 취업자수, 실업률, 고용률, 시간당명목임금증감률, 노동생산성증감률, 단위노동비용증감률, 단위노동비용증감률
국가경제지표: 고용(임금)관련 경제지표: 경제활동인구, 취업자수, 실업률, 고용률, 시간당명목임금증감률, 노동생산성증감률, 단위노동비용증감률, 단위노동비용증감률 * 고용(임금)관련 경제지표 1) 경제활동인구 2) 취업자수 3) 실업률 4) 고용률 => 4가지는 통계청에서 발표, 고용 관련 5) 시간당명목임금증감률 6) 노동생산성증감률 7) 단위노동비용증감률 8) 단위노동비용증감률 => 임금 관련 # 경제활동인구 1.노동 가능인구 -만 15세 이상 인구로서 경제활동인구와 비경제활동인구로 분류된다. 현역군인, 공익근무요원, 상근예비역, 전투 또는 의무경찰, 형이 확정된 교도수 수감자, 소년원 및 치료감호소 수감자, 경비교도대 등은 노동가능 인구에서 제외 2.경제활동인구(취업자+실업자) 수입이 있는 일에 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