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경제지표: 물가- 소비자물가지수,생산자물가지수, 수출물가지수, 수입물가지수, 근원인플레이션지수, 생활물가지수, 주택매매가격지수, 주택전세가격지수, 지가변동률, 국제유가(Dubai)
물가관련 경제 지표
1) 소비자물가지수
2) 생산자물가지수
3) 수출물가지수
4)수입물가지수
5)근원인플레이션지수
6)생활물가지수
7)주택매매가격지수
8)주택전세가격지수
9)지가변동률
10) 국제유가(Dubai)
1.물가관련 경제기초지식
1)물가
시장에서 거래되는 개별 상품의 가격을 경제생활에서 차지하는 중요도 등을 고려하여 평균한 종합적인 가격수준을 말한다.
2)물가지수
물가의 움직임을 한눈에 쉽게 알아볼 수 있도록 기준시점의 물가수준을 100으로 해서 지수의 형태로 나타낸 것이다.
3)인플레이션
Inflation 물가의 지속적인 상승
Deflation 물가의 지속적인 하락
Disinflation 물가 상승률의 하락
Stagflation 경기침체와 인플레이션이 동시에 발생
2.소비자 물가지수 CPI
1)의의
소비자물가지수는 대표적인 인플레이션지표로서 소비자가 일상 소비생활에서 구입하는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 변동을 조사함으로써 도시가계의 평균적인 생계비나 화폐의 구매력 변동을 측정하는 물가지수이다.
2)발표기간 통계청 매월
3)특징
기준년도: 2015년 (5년마다 변경)
조사대상지역: 서울을 비롯한 38개 주요도시
조사대상품목: 가계소비지출 중에서 차지하는 비중이 1/10,000 이상인 489개 품목이며 상품이 329개, 서비스가 160개 품목으로 구성되어 있다.
4)그래프
2010년도를 100으로 보면 물가는 오른다. 2012년에는 106이다.
계산
1년 우유가격 1원, 우유생산량 10개, 꿀가격 2원, 꿀생산량 5개
3년 우유가격 2원, 우유생산량 20개, 꿀가격 4원, 꿀생산량 10개
소비자 물가지수(2*10+4*5)/(2*20+2*5)*100 = 200
인플레이션 (200-100)/100*100=1/100=100%
3.생산자 물가지수(PPI)
1)의의
생산자물가지수는 국내에서 생산된 상품과 기업서비스가 국내시장에 출하되어 1차 거래단계에서 기업상호간에 이루어진 가격의 변동을 측정하는 물가지수
2)발표기간 한국은행(매월)
3)특징
기준년도 2015년 5년마다 변경
조사대상품목: 거래액이 국내시장에서 거래되는 상품거래 총액의 1/10,000이상되는 품목(서비스의 경우 전체 거래액의 1/2,000이상인 품목)으로서 소속상품군의 가격변동을 대표할 수 있고 가격시계열의 유지가 가능한 884개(상품 801개, 서비스 83)개 품목을 조사대상으로 한다.
4)그래프
우상향 그래프. 2011년에 급상승한 면이 있다. 중간 단계가 많이 못버는 지도 확인할 수 있다. 2008년은 환율이 올라서 그렇다.
4.수출입물가지수
1)의의
수출입물가지수는 수출입상품의 가격변동을 조사함으로써 국내물가에 미치는 영향을 측정하기 위하여 작성되는 물가지수이다.
2)발표기관- 한국은행 (매월)
3)특징
기준년도: 2010년 5년마다 변경
조사대상품목 – 수출 및 수입규모가 큰(상품별 수출입액기준1/2,000이상)
거래품목수출 211개, 수입 234개 품목
조사가격 – 수출입계약가격(수출은 FOB, 수입은 CIF 기준)
4)그래프
2008년도가 높은 수출. 수입은 기울기가 수출보다 크고, 중국에서 원자재를 수입해서 가격이 올라가서 기울기가 커졌다.
5.근원인플레이션지수
1)의의
소비자물가지수 전체에서 가뭄, 장마와 같은 계절적인 요인이나 석유파동 등 일시적인 충격에 의한 물가변동분을 제거하고 장기적인 추세를 파악하기 위해 곡물 외의 농산물과 석유류 품목을 제외한 436개 품목으로 작성한 지수를 말한다.
2)발표기관 통계청(매월)
3)기준년도 2010년 5년마다 변경
4)그래프 – 좌측을 100으로 보면, 상승중. 소비자 물가지수 보다 폭이 작다.
6.생활물가지수
1)의의
생활물가지수는 체감물가를 파악하기 위해 일상 생활에서 구입빈도가 높고 지출비중이 높아 가격변동을 민감하게 느끼는 생활필수품을 대상으로 작성한 소비자물가지수의 보조지표이다. 소비자들이 자주 구입하는 품목과 기본생필품(쌀, 달걀, 배추, 소주 등)을 중심으로 152개 품목을 선정하여 생활물가지수로 본다.
2)발표기관: 통계청(매월)
3)기준년도: 2010년 5년마다 변경
7.주택가격지수
1)의의
주택가격지수란 국민은행에서 전국의 주택 매매 및 전세가격을 조사하여 일정시점(2008.12=100)을 기준 시점으로 한 지역별, 주택유형별, 주택재고 구성비를 가중치 값으로 부여하여 산출하는 지표를 말한다.
2)발표기관: 국민은행(매월)
8.지가변동률
1)의의
공시지가 기준일과 개별토지의 평가시점간의 시점을 수정할 경우에 이용
개발부담금 부과시 정상지가 상승분 산정의 기초자료
지가관련 각종 행정업무와 부동산 투기의 포착, 각종 경제, 사회지표와의 상관관계 분석, 연구 등에 이용
2)발표기관: 한국토지공사(매월)
3)조사대상: 전국 거래대상 모든 토지 중 표본지 45,000필지
4)그래프
2008. 글로벌 금융위기만 떨어지고, 토지는 가격은 일관된다.
9. 국제유가(두바이)
유가는 그때그때 다르다.
퀴즈 소비자 물가 지수 5년 기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