국가경제지표:국제수지 -경상수지, 자본/금융계정, 대외채무, 수출, 수입, 해외직접투자, 외국인직접투자, 수출단가지수, 수입단가지수, 순상품교역조건지수
1.국제수지관련 경제지표 – 모두 한국은행에서 작성, 달라 기준
1)경상수지
2)자본/금융계정
3)대외채무
4)수출
5)수입
6)해외직접투자
7)외국인직접투자
8)수출단가지수
9)수입단가지수
10)순상품교역조건지수
2.국제수지관련 경제기초지식
1)국제수지란? 일정 기간 중 국간에 발생한 모든 경제적 거래를 체계적으로 기록한 표
2)국제수지의 작성원칙
-거래의 계상시점은 발생주의를 따른다. 즉 경제적 가치가 생성, 변화, 교화, 제공, 이전 또는 소멸된 시점을 거래의 발생시점으로 본다.
-모든 거래는 거래당사자간에 합의된 실제가격으로 평가되는데 수출입상품의 경우에는 수출경제권의 수출항(공항)에서 지정된 배(비행기)에 선적하는 비용까지를 포함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회계원칙은 복식부기원칙(double entry book-keeping system - 장부를 2개로 나눠서 왼쪽(차변) 오른쪽(대변)을 나눠서 을 따른다.
-미달러화, 유로화, 엔화 등 다양한 통화로 표시된 국제거래를 계산단위통화로 환산(우리나라의 경우 ‘미달러화’)할 때 거래당일의 실제 시장환율을 적용함을 원칙으로 한다.
-경상계정은 총액주의 원칙에 따라, 자본계정은 순액주의 원칙에 따라 기록하는 것을 원칙으로 한다.
3)국제수지의 분류
①경상수지: 외국과의 상품 및 서비스 거래. 외국에 투자한 대가로 벌어들이는 배당금, 이자 등의 소득 거래 및 대가없이 주거나 받는 이전거래가 계상
②자본계정: 내국인이 외국에 투자하거나 돈을 빌려주는 거래, 외국인이 우리나라의 주식 등 증권을 매입하거나 외국에서 자금을 빌려오는 거래 및 파생금융상품거래 등이 기록된다. 예시) 외국인 증권 주식 투자 자본 증가,
③준비자산증감: 대내외거래로 인한 한국은행 외환보유액의 변동액을 계상하고 있다.
경상수지
4가지로 나눠진다.
1)상품수지: 수출액과 수입액의 차액 = 수출액>수입액 => 흑자!
2)서비스수지: 외국과의 서비스거래로 수취한(받은) 돈과 지급한 돈의 차이
3)소득수지 (주식투자는 아님)
①급료 및 임금수지:
거주가가 외국에 단기간(1년 미만)머물면서 일한 대가로 받은 돈과 국내에 단기로 고용된 비거주자에게 지급한 돈의 차이
② 투자소득수지:
거주자가 외국에 투자하여 벌어들인 배당금, 이자와
비거주자(외국인)에게 국내투자 대가로 지급한 배당금, 이자의 차이
4)경상이전수지: 거주자와 비거주자 사이에 아무런 대가없이 주고받은 거래의 차를 말한다. 경상이전 항목에는 해외에 거주하는 교포가 국내의 친척 등에게 보내오는 송금, 종교기관이나 자선단체의 기부금과 구호물자, 정부간의 무상원조 등이 기록된다.
자본계정
1)투자계정
①직접투자
②증권투자
③파생금융상품
④기타투자
2)기타자본수지
<사례분석>
경상수지와 자본수지
자동차 수출 100
자동차 부품 수입 70
이자수익 30
이자비용 40
무상원조 지출 10
투자자본유출 30
투자자본 유입 55
경상수지= 상품수지, 서비스수지, 수득수지 및 경상이전 수지의 4개 항목으로
100(자동차 수출)-70(자동차부품 수입)+30(이자수익)-40(이자비용)-10(무상원조지출)=10
자본수지=55(투자자본 유입)-30(투자자본 유출)=25
퀴즈
국제수지의 원칙에 대한 설명 중 틀린 것은? 거래의 계상시점은 현금주의를 따른다.
경상수지에 포함되지 않는 것은? 주식투자(자본수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