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대와 문화를 뛰어넘는 뮤지컬 ‘그리스’
시대와 국가를 초월한 영원한 관심사 ‘사랑’
그 ‘사랑’에 대한 문화를 뛰어넘는 뮤지컬 ‘그리스’
언어와 음향으로 공감대 형성에 무리…
뮤지컬 ‘그리스’가 부산 공연을 끝내고 충무아트홀에서 서울 공연을 시작했다.
1972년 브로드웨이에서 초연된 이후 ‘그리스’ 브로드웨이팀은 34년 만에 처음으로 갖는 한국 공연이다.
이번 내한 공연에 출연하는 여주인공 샌디 역의 하나 리나 보사는 미국에서 솔로 앨범을 내기도 한 실력파로 ‘웨스트 사이드 스토리’의 마리아, ‘헤어스프레이’의 페니 등으로 실력을 인정받은 배우다. 또한 대니 주코 역의 제이미 이스너는 미국과 유럽 투어에서 3년간 대니 역으로 열연을 펼친 실력파로 ‘오페라의 유령’의 팬텀, ‘아이다’의 라다메스 역을 맡기도 한 뛰어난 가창력의 소유자다.
국내에서 CF 배경음악으로 더 잘 알려진 ‘Summer nights’을 주인공 샌디와 대니가 호소력있는 목소리로 관객들에게 선사할 때 관객들은 공연 속으로 끌려들어간다. 그러나 많은 양의 영어 대사를 처리하는 자막이 무대와 거리감이 있고, 무대 옆에만 설치된 음향 등이 뮤지컬 ‘그리스’의 빛을 흐리게 해 아쉬움이 남겼다.
대니 역의 제이미가 “자막 때문인지 몰라도 예상했던 반응이 다른 부분들이 있다”는 인터뷰를 실감나게 하는 공연이었다.
그러나 샌디역의 하나 리나 보사가 말한 극중 한국말 삽입(치어리더 연습 장면에서 “이겨라, 우리팀 이겨라”라는 말이 나온다)이 관객들에게 호소력 있게 다가가고, 연출가 마이크 맥패든이 밝혔던 “시대와 문화의 차이가 있어도 ‘사랑’이라는 추상적인 주제는 모두에게 공감할 수 있는 소재이기 때문에 아시아에서도 같은 감정에 호소하게 되지 않겠냐”라는 말처럼 사랑에 대한 ‘그리스’의 주제는 관객들에게 전달된다.
“흥이 나면, 미국 공연에서와 다르게 관객들이 박수를 쳐서 좀 다른 느낌이들고, 재미있다.”는 하나 리나 보사의 말처럼 관객들은 브로드웨이팀의 ‘그리스’에 관대했다.
브로드웨이팀이 펼치는 뮤지컬 ‘그리스’는 부산 공연을 끝내고 2월 22일부터 서울 공연을, 앞으로 성남, 대구 공연을 남겨두고 있다.
‘그리스’는 1950년대 미국 젊은이들 사이에서 유행했던 “머리에 바르던 포마드 기름”을 의미한다.
'Culture&Life' 카테고리의 다른 글
'태양의 후예' 1회 유시진(송중기) 명대사 "난 적이 실수할때 방해하지 않아" (0) | 2018.05.01 |
---|---|
'태양의 후예' 1회 유시진(송중기) 강모연(송혜교) "영화봅시다 나랑! 좋아요 싫어요?" (1) | 2018.05.01 |
청소년문제 (학교폭력에 관하여) (0) | 2018.04.30 |
입체파(CUBISM)와 네덜란드의 데 스틸(DE STIJL)운동에 대한 연구조사 (0) | 2018.04.30 |
국제재무관리의 의의, 국내무관리와의 차이점, 국제재무관리의 중요성, 외환시장, 환율, 환위험 *CASE, 다국적기업 (0) | 2018.04.30 |